- 박유진 의원, “한강버스, 보고받은 대로 말했을 뿐 나는 책임 없다? 그런 리더십으로는 서울 행정의 신뢰 지킬 수 없어”
- “잘못 인정하는 순간 진다고 생각하는 태도… 그 순간부터 행정은 망가지고 시민은 피해 본다”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박유진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3)은 18일 열린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오세훈 시장은 추진한 정책이 틀어질 때마다 책임을 지는 대신 ‘보고받은 대로 말했다’, ‘그때는 그렇게 알고 있었다’는 식의 유체이탈 화법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서울시정의 책임자가 갖춰야 할 기본 태도가 무너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시장이 공언했던 약속과 실제 결과가 달라졌다면, 그 차이를 놓고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과정을 투명하게 밝히고 판단이 어긋난 부분에 대해 책임자로서 통감해야 한다”며, “앞으로 같은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무엇을 바꾸고 어떻게 조치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는 것이 시장의 기본 책무”라고 일갈했다.
■ 한강버스 네 차례 연기, 그러나 책임은 ‘없다’… “이게 시장의 자세인가”
박 의원은 먼저 네 번이나 일정이 번복된 한강버스 사업을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했다. 오세훈 시장은 한강버스 추진 당시 “24년 10월에 서울 교통혁신이 시작된다”, “내년 봄 운행됩니다”, “문제없다. 예정대로 간다”고 공언했으나 실제 일정은 24년 10월 → 25년 봄 → 여름 → 9월로 계속 미뤄졌고, 결국 운행 시작 한 달 만에 다시 중단됐다.
박 의원은 “이렇게 말이 바뀌는 과정에서 시장에게 들은 해명은 ‘늦어진 데는 다 이유가 있다’는 말 뿐이었다”며, “네 번이나 일정이 깨져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고 질타했다.
■ “모든 과정이 틀어진 세운상가… 그런데도 남 탓만 하는 시장”
박 의원은 세운4지구 개발 사례 역시 마찬가지 사례로 지적했다. “2020년에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고 철거까지 완료된 재개발을 갑자기 계획 변경하여 중단시켜 놓고 ‘경제성이 안 나와서 어쩔 수 없었다’, ‘주민이 동의하지 않았다’는 핑계를 대고 있다”며 “철거해놓고 다시 계획을 바꿨다는 것은 시장이 개발 지연의 시작과 끝에 있었다는 증거인데 왜 끝까지 남 탓이냐”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시장이 자신 있게 발표한 계획이 번복되고 문제가 생겨 사업이 어그러지면 단순한 행정 실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금과 행정력이 낭비되는 문제”라며, “시장이 잘못을 인정하는 순간 진다고 생각하는 태도를 가지고 책임회피성 발언만 하면 행정은 망가지고 시민은 피해 본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충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