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는 관련민원에 대해 수차례 현장조사와 기관협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조정안을 마련했다.
권익위는 19일 축분뇨 오폐수 및 폐축사 악취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온 여수 한센인촌 거주민들의 고충을 조정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
권익위는 이날 이정희 부위원장 주재로 여수시청에서 현장 조정회의를 열고, 배수펌프장 관리.운영과 관련한 갈등 및 폐축사 정비대책을 요구하는 한센인촌(도성마을) 정착민들의 집단민원을 해결했다.
도성마을은 우리나라 최초 한센병원인 '광주나병원'이 지난 1928년 여수시 율촌면 일대로 이주(1935년 애양원으로 개칭)한 뒤, 1976년 애양원 퇴소자 206 명의 한센인(완치자)들이 모여 살면서 만들어진 정착촌이다.
이곳 정착민들은 자립을 위해 축산업을 주 수입원으로 삼아 왔다.
그러나 평균 80세 이상의 고령으로 인해 대부분 축산업을 그만둔 채 정부지원금으로 생활하고 있는 가운데, 폐축사 507 동이 방치돼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2010년 제방 수문과 배수펌프장(축분뇨.오폐수배수처리시설 포함) 관리.운영권을 여수해양수산청으로부터 이관받아 12년 이상 직접 관리해 오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시설 관리.운영에 따른 과다한 전기료가 마을에 큰 부담이 돼 왔다.
뿐만 아니라 침전지 내 퇴적된 축분뇨 등 오폐수 악취로 주거환경이 악화된 것은 물론, 오염물이 바다로 배출됨으로써 해양오염 등 환경피해까지 발생했다.
이에 정착민들은 지난해 12월 국민권익위에 배수펌프장 관리에 따른 갈등 해소 및 폐축사 정비 등을 요구하는 집단민원을 제기했다.
이번 권익위의 조정에 따라 여수시는 그동안 마을이 직접 관리해 온 제방 수문과 배수펌프장 관리.운영권을 인수하기로 했다.
또 시설 개보수 및 노후시설 철거, 배수펌프장 내 퇴적오염물 준설작업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기로 하는 한편, 폐축사 철거 등 환경개선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은 제방 수문과 배수펌프장 관리.운영권의 여수시 이관과 저지대 침수 및 환경피해 예방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정희 부위원장은 "정부의 이주 정책과 사회의 편견 및 차별 속에 힘든 삶을 살아 온 한센인촌인 도성마을의 40년 이상 된 숙원을 해소할 수 있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센인 정착촌의 환경.복지문제 해결을 위해 관계부처와 지자체, 의회, 언론 및 사회 각계각층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세계타임즈 / 양준호 기자 news@thesegye.com
[저작권자ⓒ 충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