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세계타임즈 |
코스모스가 한들 한들 춤추며 온 들판에 황금빛으로 물들어가는 풍요로운 곡식의 결실의 계절이 되었다.
어느덧 24절기 중 열일곱 번째 절기인 한로가 지났다. 한로는 찰“한(寒)”, 이슬“로(露)”로 써서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를 맺으면서 사람들이 비로소 가을을 느낄 수 있는 시기이다. 산과 들에 볼거리가 가득하고, 서늘한 기후의 가을을 느낄 수 있는 시기이다. 서늘한 기후의 가을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계절 이면서도 주택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계절이다. 나 역시 가을을 무척이나 좋아 하지만, 24년째 소방관생활을 해온 사람으로서 가을의 정취를 마냥 즐길수만은 없는듯하다.
화재가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평생 동안 일궈놓은 전 재산이 잿더미가 되거나 소중한 목숨까지 잃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실화배상책임 관련법 강화로 단순 전기누전처럼 경과로 인한 화재라도 본인의 가정에서 발생한 화재가 이웃 가정에 옮겨 붙어 피해를 입혔다면 그 손해액에 대한 보상을 해야 한다. 대부분 주택 및 아파트화재는 전기, 가스, 불장난 등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다음 사항 잘 살펴본다면 화재로부터 조금은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는 전기배선과 콘센트는 고정을 잘 시키며 문어발식 사용 피하고, 전기·전자 제품은 한국공업규격제품(KS)을 꼭 확인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과전류 차단기 및 스위치 작동상태가 정상인가를 수시로 확인하며,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의 코드는 항상 뽑아두는 습관을 가져야한다. 또한 5년 이상 사용한 전기제품은 일상점검 및 청소를 해야 한다. 가전제품의 장기간 사용으로 먼지 등 쌓여있는 상황에서 스파크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가스에 대한 안전이다. 가스배관 연결부분과 연소기(가스버너), 중간밸브는 비누거품 등을 이용해 가스누출여부를 수시로 점검한다. 가스를 사용 중에는 자리를 비우지 말고 사용 후에는 중간밸브를 꼭 잠근다. 가스용기나 보일러 설치 장소는 통풍이 되는 곳에 설치, 외출 후 집에 돌아와서 가스레인지를 사용하기 전에 10분 이상 환기를 꼭 시킨다.
셋째는 이동식 석유난로나 차량에 연료를 주입할 때는 점화스위치나 시동을 확실히 끄고 연료를 주입하고, 외출 시 또는 잠들기 전이나 이침 기상 후 가스차단, 각종 전원차단 등 안전점검을 하는 생활습관을 가져야 한다.
끝으로 아이들만 두고 외출 할 때는 라이터, 양초, 성냥 등은 어린아이가 손 댈 수 없는 곳에 보관하고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해야 된다.
주택화재 예방안전 수칙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지만 누구나 실천하고 있는 상식은 아니다. 생활습관을 한번에 바꿀 수는 없겠지만 작은 실천들이 소중한 내 가족을 지키고 사회를 건강하고 밝게 만들 수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계절이 겨울을 향해 한층 가까이 가고 있다. 하루에 한가지 생활속 화재예방을 위한 작은 실천으로 모두가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화재예방 안전수칙 실천에 나서보기를 바란다.
<인천공항소방서 119구조대장 소방위 신송철 >
[저작권자ⓒ 충북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